-
작업표준, 작업위험분석 등산업안전 2022. 7. 3. 12:50
작업표준, 작업위험분석, 그리고 부품 배치의 원칙과 동작경제의 원칙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업표준, 작업위험분석
- 체계 기준 (system criteria) : 체계가 원래 의도하는 바를 얼마나 달성하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써 체계의 수명, 신뢰도, 정비도, 가용도, 운용비, 운용연장도, 소요 인력, 사용상의 용이성 등이 있습니다.
※ 체계 기준의 요건
- 적절성 : 의도된 목적에 적합하여야 합니다. (타당성)
- 무 오염성 :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외의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 신뢰성 : 반복 실험 시 재현성이 있어야 합니다. (반복성)
- 민감도 : 예상 차이점에 비례하는 단위로 측정하여야 합니다. - 인간 기준 : 인간 성능 (Human Performance)에 의한 판단 기준
※ 인간 기준의 종류
- 인간 성능 척도 : 여러 가지 감각 활동, 정신활동, 근육 활동에 의해 판단합니다.
- 생리학적 지표 : 맥박, 혈압, 뇌파, 호흡수 등으로 판단합니다.
- 주관적인 반응 : 개인 성능 평점, 체계설계에 대한 대안에 대한 평점 등 주관적 평가로 판단합니다.
- 사고빈도 : 사고나 상해 발생 빈도에 의해 판단합니다. - 신뢰성 설계
- 중복 (Redundancy) 설계 : 일부에 고장이 발생해도 전체 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여력인 부분을 추가하여 중복으로 설계합니다. (병렬 설계)
- 부품의 단순화와 표준화
- 인간공학적 설계와 보전성 설계 - 작업설계 (job design) :작업 만족도를 위한 설계입니다.
- 작업 확대 : 수평적 확대 (범위)
- 작업 윤택화 : 수직적 확대 (깊이)
- 작업 만족도 : 작업 설계 시의 딜레마
- 작업 순환 : 작업능률, 생산성 강조 (인간요소적 접근방법) - 계면 설계 (interface design) : 작업공간, 표시장치, 조종장치 등이 계면에 해당하며 계면 설계를 위한 인간요소 관련 자료는 상식과 경험, 정량적 자료, 전문가의 판단 등입니다.
- 위험처리 기술
- 위험의 제거 : 위험 요소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경감하려는 것을 말합니다.
- 위험의 회피 : 위험한 작업 자체를 하지 않거나 작업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말합니다.
- 위험의 보유 : 위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스로 인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 위험의 전가 : 위험을 보험, 보증, 공제기금제도 등으로 분산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부품 배치의 원칙과 동작경제의 원칙
- 부품 배치의 원칙
- 중요성의 원칙 : 부품을 작동하는 성능이 체계의 목표 달성에 중요한 정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 사용 빈도의 원칙 : 부품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 기능별 배치의 원칙 : 기능적으로 관련된 부품들 (표시장치, 조정장치 등)을 모아서 배치합니다.
- 사용순서의 원칙 : 사용 순서에 따라 장치들을 가까이에 배치합니다. - 동작경제의 3원칙
- 인체 사용에 관한 원칙 : 두 손을 동작하기 시작하여 동시에 끝나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휴식 시간 중이 아니면 두 손을 동시에 쉬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두 팔의 동작들은 서로 반대 방향에서 대칭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손과 신체의 동작을 작업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동작 등급을 사용합니다. 가능한 한 관성(Momentum)을 이용해야 하며 작업자가 관성을 억제해야 하는 경우 관성을 최소한도로 줄입니다. 그리고 손의 동작은 부드러운 연속동작으로 하고 급격한 방향 전환을 가지는 직선 동작은 피합니다.
-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 모든 공구 및 재료는 정위치에 배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구, 재료 및 조정기는 사용 위치에 가까이 두어야 하며, 가능하면 낙하식 운반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재료와 공구들은 자기 위치에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 치공구, 발로 조정하는 장치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에는 손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공구를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며, 공구 및 재료는 가능한 한 작업자 앞에 둡니다.
통제표시비
- 제어장치의 유형
-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일정한 논리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진행해 가는 제어
- 개방루프 제어(open loop control) : 출력이 다시 입력에 연결되지 않고 입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시스템
- 피드백제어(feedback control) : 출력 결과를 입력 측으로 되돌려, 이것을 목푯값과 비교하면서 목푯값과 출력 결과가 일치할 때까지 제어를 되풀이하여 제어량이 목푯값과 일치하도록 하는 제어 - 통제표시비 : 통제기기와 시각적 표시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며, 연속 조종장치에만 적용됩니다.
- 통제표시비 설게 시 고려사항 : 계기의 크기, 목측거리(목시거리), 조작 시간, 방향성, 공차
- 최적의 C/D비는 1.18 ~ 2.42 정도입니다. (C/D 비는 통제기기의 변위량(cm)을 표시계기 지침의 변위량(cm)으로 나눈 값입니다) - 기계의 통제기능
- 양의 조절에 의한 통제(연속 조종장치) : 노브, 크랭크, 핸들, 레버, 페달 등이 있습니다.
- 개폐에 의한 통제(단속 조종장치, 불연속 조종장치) : 푸시 버튼, 토글스위치, 로터리 스위치 등이 있습니다.
- 반응에 의한 통제 : 자동 경보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 정보의 측정 단위 bit : 실현 가능성이 같은 2개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때 얻는 정보량입니다. 이진법의 최소 단위를 bit라고 하며, 1개의 비트는 2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n개의 비트로는 2의 n 제곱 가지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반응형'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적, 청각적 표시장치, 부호 및 시각적 암호 등 (0) 2022.07.04 신뢰도와 고장률, 인체계측 및 인간의 모니터링 방법 등 (0) 2022.07.02 인간-기계 체계, 인간과 기계의 성능 등 (0) 2022.06.27 동기부여 이론과 무재해운동에 대해 (0) 2022.06.05 재해 빈발성 이론, 노동과 피로 등 (0) 2022.06.01 - 체계 기준 (system criteria) : 체계가 원래 의도하는 바를 얼마나 달성하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써 체계의 수명, 신뢰도, 정비도, 가용도, 운용비, 운용연장도, 소요 인력, 사용상의 용이성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