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동기부여 이론과 무재해운동에 대해
    산업안전 2022. 6. 5. 10:21

    동기부여 이론, 무재해운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기부여 이론

    • 데이비스(K. Davis)의 동기부여 이론
      - 인간의 성과와 물질의 성과를 곱한 값은 경영의 성과입니다.
      - 지식(knowledge)과 기능(skill)을 곱한 값은 능력(ability)입니다.
      - 상황(situation)과 태도(attitude)를 곱한 값은 동기유발(motivation)입니다.
      - 능력과 동기유발을 곱한 값은 인간의 성과(human performance)입니다.

    • 매슬로(Maslow A. H.)의 욕구 단계 이론(인간의 욕구 5단계)
      - 제1단계(생리적 욕구) :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입니다.
      - 제2단계(안전 욕구) : 자기 보존의 욕구입니다.
      - 제3단계(사회적 욕구) :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입니다.
      - 제4단계(존경 욕구) :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 제5단계(자아실현의 욕구) : 잠재적인 능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 헤르츠버그(Herzberg)의 동기·위생 이론
      - 위생요인 : 인간의 동물적 욕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Maslow의 생리적, 안전, 사회적 욕구와 비슷합니다. (저차원의 욕구) 주로 직무 환경과 관련되며, 회사정책과 관리, 개인 상호 간의 관계, 감독 등입니다. 
      - 동기요인 : 자아실현을 하려는 인간의 독특한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Maslow의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와 비슷합니다. (고차원의 욕구) 주로 직무 내용과 관련되며, 성취감, 책임감, 안정감, 임금, 보수, 작업조건, 지위, 안전, 성장과 발전, 도전감, 일 그 자체에 해당합니다.

    • 알더퍼의 E.R.G 이론
      - 생존 욕구(존재 욕구) : 의식주, 봉급, 직무 안전 등입니다.
      - 관계욕구 : 대인관계와 관련됩니다.
      - 성장 욕구 : 개인적 발전과 연관됩니다.

    • 맥그리거(McGregor)의 X, Y 이론
      - X 이론의 특징 : 인간 불신감과 성악설에 기초하며, 인간은 원래 게으르고 태만하며 남의 지배를 받는 것을 즐긴다는 이론입니다. 인간은 물질 욕구(저차원 욕구)에 만족하며, 명령, 통제에 의해 관리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권위주의형 리더십) 저개발국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X 이론(저차원)의 관리 처방 : 경제적 보상체제를 강화,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상부 책임제도를 강화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 Y 이론의 특징 : 상호 신뢰감과 성선설에 기초하며, 인간은 부지런하고 적극적이며 자주적이라서 정신 욕구(고차원 욕구)에 만족한다는 이론입니다. 이 경우, 목표를 통합하고 자기통제에 의해 관리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민주주의형 리더십) 선진국형에 해당합니다.

      - Y 이론(고차원)의 관리 처방 :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직무확장 및 목표에 의한 관리, 민주적 리더십의 확립, 비공식적 조직의 활용, 상호 신뢰감, 책임과 창조력, 그리고 인간관계 관리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무재해운동과 위험예지 훈련

    • 무재해의 정의
      - 무재해운동 시행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4일 이상의 요양을 필요로 하는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무재해로 봅니다.
    • 무재해에 해당하는 경우
      - 업무수행 중의 사고 중 천재지변 또는 돌발적인 사고로 인한 구조행위 또는 긴급피난 중 발생한 사고
      -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재해
      - 운동경기 등 각종 행사 중에 발생한 재해
      - 천재지변 또는 돌발적인 사고 우려가 많은 장소에서 사회 통념상 인정되는 업무수행 중에 발생한 사고
      - 제3자의 행위에 의한 업무상 재해
      -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기준 중 뇌혈관질병 또는 심장질병에 의한 재해
      - 업무시간 외에 발생한 재해. 다만, 사업주가 제공한 사업장 내의 시설물에서 발생한 재해 또는 작업 개시 전의 작업준비 및 작업 종료 후의 정리 정돈 과정에서 발생한 재해는 제외합니다.
      - 도로에서 발생한 사업장 밖의 교통사고, 소속 사업장을 벗어난 출장 및 외부 기관으로 위탁 교육 중에 발생한 사고, 회식 중의 사고, 전염병 등 사업주의 법 위반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인정되는 재해

    • 무재해 운동의 3대 원칙
      - 무의 원칙(ZERO의 원칙) : 사업장 내의 모든 잠재 위험요인을 적극적으로 사전에 발견하고 파악·해결함으로써 산업재해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없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선취의 원칙(안전 제일의 원칙) : 사업장 내에서 행동하기 전에 잠재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파악·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참가의 원칙(참여의 원칙) : 작업에 따르는 잠재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파악·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일치 협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하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무재해 운동의 3요소
      - 최고 경영자의 경영 자세
      - 라인 관리자에 의한 안전보건 추진
      - 직장의 자주 안전 활동의 활성화
    • 무재해 소집단활동
      -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 인간의 잠재의식을 일깨워 자유로이 아이디어를 개발하자는 토의식 아이디어 개발 기법
      -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 좋다, 나쁘다 비판하지 않는 비판금지, 마음대로 자유로이 발언한다는 자유분방, 무엇이든 좋으니 많이 발언한다는 대량발언, 타인의 생각에 동참하거나 보충 발언해도 좋은 수정 발언의 원칙이 있습니다.
      - 미국 듀폰사의 STOP 기법 : Safety Training Observation Program, 안전교육 관찰 프로그램으로써 숙련된 관찰자(안전관리자)가 불안전한 행위를 관찰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결심 → 정지 → 관찰 → 보고 순으로 진행합니다.
      - T.B.M(Tool Box Meeting) : 단시간 미팅 즉시 적응법입니다. 작업 전, 종료 시 5~10분간 작업자 3~5인이 조를 이뤄 작업 시 위험 요소에 대해 말하는 방식입니다.
      - 안전 확인 5지 운동 : 모지(마음), 시지(복장), 중지(규정), 약지(정비), 새끼손가락(확인)의 순서입니다.
      - 지적 확인 : 사람의 눈이나 귀 등 오관의 감각기관을 총동원해서 작업공정의 요소에서 자기 행동과 대상을 지적하여 큰 소리로 확인하여 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5C 운동
      - 복장 단정(Correctness)
      - 정리 정돈(Clearance)
      - 청소 청결(Cleaning)
      - 점검 확인(Checking)
      - 전심전력(Concentration)

    • E.C.R(Erroe Cause Removal) 제안제도
      - 근로자 자신이 자기의 부주의 이외에 제반 오류의 원인을 생각함으로써 개선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 터치 앤 콜(Touch and Call)
      - 팀의 전 구성원이 원을 만들어 팀의 행동 목표나 무재해 구호를 지적 확인 하는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