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재해 빈발성 이론, 노동과 피로 등
    산업안전 2022. 6. 1. 10:14

    재해 빈발성 이론, 노동과 피로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해설

    - 기회설(상황설) : 재해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만 주어진다면 재해가 유발된다는 이론입니다.
    - 암시설(습관설) : 한번 재해를 당한 사람은 겁쟁이가 되어 신경과민으로 또 재해를 유발한다는 이론입니다.
    - 경향설(성향설) : 근로자 중 재해가 빈발하는 소질적 결함자가 있다는 이론입니다.


    재해 누발자의 유형

    - 미숙성 누발자 : 기능에 미숙하며, 작업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유형입니다.
    - 상황성 누발자 : 작업에 어려움이 많으며, 기계 설비의 결함이 있거나, 심신에 근심이 있는 경우, 그리고 환경상 주의력 집중이 혼란하기 쉬운 때 발생하는 유형입니다.
    - 소질성 누발자 : 개인 소질 가운데 재해 원인 요소를 가지고 있거나, 개인의 특수 성격 소유자의 유형입니다. 공통된 성격으로는 주의력이 산만하고, 주의력을 지속할 수 없거나, 흥분성 기질, 저지능, 비협조적인 특성, 도덕성의 결여되어있는 경우, 소심한 성격의 경우, 감각 운동에 부적합한 기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 습관성 누발자 : 재해 경험이 있어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이 된 경우, 그리고 슬럼프에 빠져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노동과 피로

    • 산소부채(oxygen debt) 현상 : 격렬한 작업이나 운동할 때 산소 섭취량이 산소 소모량보다 부족하게 되어 산소부채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빚진 산소 부족분을 되갚기 위해 작업이나 운동 후에, 호흡이 즉시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고 서서히 회복되는 산소부채의 보상 현상이 발생합니다.
    • 피로의 측정 방법
      - 생리학적 측정법
      1) EMG (electromyogram; 근전도) : 근육 활동의 전위차를 기록합니다.
      2) ECG (electrocardiogram; 심전도) : 심장근 활동의 전위차를 기록합니다.
      3) ENG 또는 EEG (electroneurogram; 뇌전도) : 신경 활동 전위차를 기록합니다.
      4) EOG (electrooculogram; 안전도) : 안구운동의 전위차를 기록합니다.
      5) 산소소비량 
      6) 에너지 소비량 (RMR)
      7) 피부 전기반사 (GSR)
      8) 점멸 융합 주파수 (플리커법, 어름거림 검사)

    • 생화학적 측정법 : 혈액, 소변 중의 스테로이드양, 아드레날린 배설량 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 심리학적 측정법 : 동작분석, 연속반응 시간, 자세 변화, 주의력, 집중력 등을 이용한 측정법입니다.

    • 에너지 대사율 (RMR)
      - 작업강도는 에너지의 대사율로 나타냅니다.
      - 작업 시의 소비에너지는 작업 중에 소비한 산소의 소모량으로 측정합니다.
      - 안정 시의 소비에너지는 의자에 앉아서 호흡하는 동안에 소비한 산소의 소모량으로 측정합니다.
    • 작업강도 구분에 따른 RMR
      - 경 작업(가벼운 작업) : 1~2
      - 중 작업 (보통 작업) : 2~4
      - 중 작업 (힘든 작업) : 4~7
      - 초중 작업 (굉장히 힘든 작업) : 7 이상

    • 생체리듬 (biorhythm)
      - 육체적 리듬 : 23일 주기로, 청색의 실선으로 표시하며 식욕, 소화력, 활동력, 지구력 등을 나타냅니다.
      - 감성적 리듬 : 28일 주기로, 적색의 점선으로 표시하며 감정, 주의력, 창조력, 희로애락 등을 나타냅니다.
      - 지성적 리듬 : 33일 주기로, 녹색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며 상상력, 사고력, 기억력, 인지력, 판단력 등을 나타냅니다.

    리더십과 헤드십

    • 리더십이란?
      - 리더 (leader)와 멤버, 추종자 (follower), 상황 요인 (situational variables)의 함수입니다.

    • 업무 추진 방식에 따른 분류
      - 권위주의적 리더 : 리더가 독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형태입니다.
      - 민주주의적 리더 : 집단토의를 통해 의사를 결정하는 형태입니다.
      - 자유방임적 리더 : 리더 역할은 하지 않고 명목상 자리만 유지하는 형태입니다.

    • 행동유형 방식에 따른 분류
      - 참여적 리더십 : 부하들과 상담하여 부하 의견을 고려하는 형태입니다.
      - 지시적 리더십 : 지도자는 독선적이며 조직 구성원들을 보상 - 체벌의 연속선상에서 명령하고 통제하는 유형입니다.
      - 지원적 리더십 : 우호적이며 친밀감이 강하고 부하의 의사 표현을 존중하는 형태입니다.
      - 성취 지향적 리더십 : 도전적 목표설정을 강조하고 부하의 능력을 신뢰하는 형태입니다.

    • 리더십 권한의 역할
      - 보상적 권한 : 지도자가 부하에게 보상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강압적 권한 : 지도자가 부하들을 처벌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 합법적 권한 : 조직의 규정에 의해 공식화된 권한입니다.
      - 위임된 권한 : 부하직원들이 지도자를 따르고 지도자와 함께 일하는 것입니다.
      - 전문성의 권한 : 지도자가 집단 목표수행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가와 관련한 권한입니다.

    • 리더십과 헤드십의 특성
      - 리더십 : 권한 행사 부분에서는 선출된 리더가, 밑으로부터의 동의받아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집단 목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음으로써 권한을 귀속 받으며, 상사 부하 관계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부하와의 관계는 좁으며, 지휘 형태는 민주주의적 성격을 띱니다. 책임 관계는 상사와 부하이며, 권한의 근거는 개인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헤드십 : 권한 행사 부분에서는 임명적이며, 위에서 위임하여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공식화된 규정에 의해 권한을 귀속 받으며, 상사 부하 관계에 대해서는 지배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부하와의 관계는 넓으며 권위주의적인 지휘 형태를 보입니다. 책임 관계는 상사이며, 법적, 공식적인 권한 근거를 지닙니다.

    • 집단의 유형
      - 1차 집단 : 가족, 친한 친구 등에 해당하며, 대면 상호작용과 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의존과 동일시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작고 오래 지속되는 집단의 형태입니다.
      - 2차 집단 : 직장동료, 모임 등에 해당하며, 보다 복잡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크고 공식적으로 조직되는 사회집단입니다.

    • 집단의 기능
      - 응집력 : 집단내부로부터 생기는 힘입니다.
      - 행동의 규범 : 그 집단을 유지하며,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서 자연 발생적으로 성립되는 것입니다.
      - 집단의 목표 : 집단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특정 목표를 지녀야 합니다.

    • 비통제적 집단행동
      - 군중 : 공통된 규범이나 조직성 없이 우연히 조직된 인간의 일시적인 집합입니다.
      - 모브 : 비통제의 집단행동 중 폭동과 같은 것을 의미하며 군중보다 합의성이 없고 감정에 의해서만 행동하는 특성을 지닙니다.
      - 패닉 :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집합적인 도주 현상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