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업재해 발생원인, 상해 정도 등
    산업안전 2022. 5. 28. 23:31

    재해의 직접 원인

    • 인적 원인 (불안전한 행동)
      - 위험장소 접근
      - 안전장치의 기능 제거
      - 복장, 보호구의 잘못 사용
      - 기계, 기구 잘못 사용
      - 운전 중인 기계장치의 손질
      - 불안전한 속도 조작
      - 위험물 취급 부주의
      - 불안전한 상태 방치
      - 불안전한 자세, 동작
      - 감독 및 연락 불충분

    • 물적 원인 (불안전한 상태)
      - 물 자체의 결함
      - 안전 방호장치의 결함
      - 복장, 보호구의 결함
      - 물의 배치 및 작업장소 불량
      - 작업환경의 결함
      - 생산공정의 결함
      - 경계표시, 설비의 결함

    재해의 간접 원인

    • 기술적 원인
      - 건물 기계장치 설계 불량
      - 구조 재료의 부적합
      - 생산방법의 부적당
      - 점검 정비 보존 불량

    • 교육적 원인
      - 안전 지식의 부족
      - 안전 수칙의 오해
      - 경험 훈련의 부족
      - 작업 방법의 교육 불충분
      - 유해 위험 작업의 교육 불충분

    • 작업 관리상 원인
      - 안전관리 조직 결함
      - 안전 수칙 미제정
      - 작업 준비 불충분
      - 인원 배치 부적당
      - 작업지시 부적당

    인간 에러의 배후 요인

    • 인간 : 본인 외의 사람, 직장의 인간관계 등
    • 기계 : 기계, 장치 등의 물적 요인
    • 매체 : 작업 정보, 작업 방법 등
    • 관리 : 작업관리, 법규 준수, 단속, 점검 등

    ILO의 근로 불능 상해의 구분

    • 사망
    • 영구 전 노동 불능 : 신체 전체의 노동 기능 완전 상실 (1~3급 상해)
    • 영구 일부 노동 불능 : 신체 일부의 노동 기능 상실 (4~14급 상해)
    • 일시 전 노동 불능 : 일정 기간 노동 종사 불가 (휴업 상해)
    • 일시 일부 노동 불능 : 일정 기간 일부 노동에 종사 불가 (통원 상해)
    • 구급 조치 상해

    재해통계 및 재해사례연구

    • 재해통계 방법
      - 파레토도 : 사고 유형, 기인물 등 데이터를 분류하여 그 항목 값이 큰 순서대로 정리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 특성 요인도 : 재해와 그 요인의 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화하여 나타낸다.
      - 크로스 분석 : 2가지 또는 2개 항목 이상의 요인이 상호관계를 유지할 때 문제를 분석하는 데 사용한다.
      - 관리도 : 시간 경과에 따른 재해 발생 건수 등 대략적인 추이 파악에 사용된다.

    • 산업재해 예방의 4원칙
      - 예방 가능의 원칙 :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하다.
      - 손실 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 생기는 상해 (손실)의 종류와 정도는 사고 발생 시 사고 대상의 조건에 따라 우연히 발생한다.
      - 대책 선정의 원칙 : 사고의 원인에 대한 적합한 대책이 선정되어야 한다.
      - 원인 연계의 원칙 : 재해는 직접 원인과 간접 원인이 연계되어 일어난다.

    • 재해사례연구 진행 단계
      - 전제 조건 : 재해 상황의 파악
      - 1단계 : 사실의 확인 (사람, 물건, 관리, 재해 발생 경과)
      - 2단계 : 문제점 발견
      - 3단계 : 근본 문제점 결정 (재해 원인 결정)
      - 4단계 : 대책 수립

    사고 발생 및 사고방지 이론

    •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이론
      º 1단계 : 안전 조직
        - 안전 목표 설정
        - 안전관리자의 선임
        - 안전 조직 구성
        - 안전 활동 방침 및 계획 수립
        - 조직을 통한 안전 활동 전개

      º 2단계 : 사실의 발견
        - 작업분석
        - 점검
        - 사고조사
        - 안전진단

      º 3단계 : 분석
        - 사고 원인 및 경향성 분석
        - 작업공정 분석
        - 사고기록 및 관계자료 분석
        - 인적, 물적 환경 조건 분석

      º 4단계 : 시정 방법 선정
        - 기술적 개선
        - 안전 운동 전개
        - 교육훈련 분석
        - 안전 행정의 개선
        - 배치 조정
        - 규칙 및 수칙 등 제도의 개선

      º 5단계 : 시정책 적용 (3E 적용)
        - 안전교육 (Education)
        - 안전 기술 (Engineering)
        - 안전 독려 (Enforcement)

    • 사고 발생 이론

      º 하인리히 사고 발생 도미노 5단계
        - 1단계 : 선천적 결함 (사회, 환경, 유전적 결함)
        - 2단계 : 개인적 결함
        - 3단계 : 불안전 행동 (인적 결함), 불안전한 상태 (물적 결함)
        - 4단계 : 사고 
        - 5단계 : 재해 (상해)

      º 버드의 사고 연쇄성 이론 5단계
        - 1단계 : 제어 부족 (관리 부재)
        - 2단계 : 기본 원인 (기원)
        - 3단계 : 직접 원인 (징후)
        - 4단계 : 사고 (접촉)
        - 5단계 : 상해 (손실)

      º 아담스 연쇄성 이론 5단계
        - 1단계 : 관리구조
        - 2단계 : 작전적 에러
        - 3단계 : 전술적 에러
        - 4단계 : 사고
        - 5단계 : 상해

      º 자 베타 키스의 이론
        - 1단계 : 안전정책과 결정
        - 2단계 : 개인적인 요소
        - 3단계 : 환경적 요소

      º 웨버의 연쇄성 이론
        - 1단계 :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유전과 환경)
        - 2단계 : 인간의 결함 (개인적 결함)
        - 3단계 : 불안전 행동 및 상태
        - 4단계 : 사고
        - 5단계 : 상해
    • 사고 빈도 법칙
      º 하인리히 1 : 29 : 300의 법칙
        - 총 330건의 사고를 분석했을 때, 중상 또는 사망 1건, 경상해 29건, 무상 해사고 300건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º 버드의 1 : 10 : 30 : 600의 법칙
        - 총 641건의 사고를 분석했을 때 중상 또는 폐질 1건, 경상해 10건, 무상 해사고(물적 손실) 30건, 무상해, 무사고 (위험 순간) 600건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 사고의 본질적 특성
      - 사고의 시간성 : 사고는 공간적이 아니고 시간적으로 발생한다.
      - 우연성 중의 법칙성 : 사고는 우연이 아닌 법칙에 따라 발생한다.
      - 필연성 중의 우연성 : 인간의 착오와 같이 우연적인 사고도 있다.
      - 사고의 재현 불가능성 : 사고 발생 후 재현은 불가능하다.

    • 하비의 3E
      - 안전 교육 (Education)
      - 안전 기술 (Engineering)
      - 안전 독려 (Enforcement), 안전감독

    • 3S
      - 단순화 (Simplification)
      - 표준화 (Standardization)
      - 전문화 (Specification)
      - 총합화 (Syntehsization) → 4S

    • 안전관리 4 - Cycle (P - D - C - A)
      : 계획 (Plan) → 실시 (Do) → 검토 (Check) → 조치 (Action)
    반응형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 인증에 대해  (0) 2022.05.29
    안전 점검에 대해  (0) 2022.05.29
    산업재해 발생형태와 상해 종류  (0) 2022.05.28
    산업재해 발생과 재해조사 분석 등  (0) 2022.05.28
    안전관리계획에 대해  (0) 2022.05.28

    댓글

Designed by Tistory.